char는 원래 하나의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 입니다.
그런데 char를 갖고 작은 수의 정수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또, char를 문자로 저장하고 그것을 int로 형변환을 하면 그 문자에 대한 정수값을 가져 올 수 있습니다.
각문자 마다 정해진 정수값이 있습니다. 그것을 "아스키코드값"이라고 합니다.
대문자 'A'의 아스키 코드값은 65입니다. 그 다음 문자들은 1씩 증가합니다.
소문자 'a'의 아스키코드값은 97입니다
아스키코드값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으신 분들은 이 url(나무위키)을 참고해보세요
https://namu.wiki/w/%EC%95%84%EC%8A%A4%ED%82%A4%20%EC%BD%94%EB%93%9C#s-2
만약
char ch = 'A';
라고 하고
System.out.println(ch);
라고 하면 'A'가 출력 됩니다.
그런데 만약 다음과 같이 수식을 표현하면
System.out.println(ch+1);
위와같이 수식을 만나면 ch를 정수로 변환하여 연산을 합니다.
즉 화면에 'A'의 아스키코드값이 65+1의 결과인 66이 출력이 됩니다.
또, 다음과 같이 표현하면
System.out.println( (char)(ch+1) );
연산한 결과 66의 문자인 'B'가 출력이 됩니다.
만약 다음과 같이 문자가 있다면
int k = 65;
System.out.println( (char)k );
아스키코드값 65에 해당하는 문자 'A'가 출력이 됩니다.
'프로그래밍 공부 정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1) 은닉성(Encapsulation) (0) | 2021.10.22 |
---|---|
객체와 클래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 2021.10.21 |
참조자료형, 메소드,return (0) | 2021.10.19 |
다차원 배열 (0) | 2021.10.18 |
반복문: while문, do while문,for each반복문 (0) | 2021.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