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tch case 문
판단해야할 경우가 수가 여러가지인 경우에 switch case문을 사용하면
if보다는 좀 더 간결하게 문장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switch case 문의 형식
a;
b;
switch(data){
case 값1: 명령1;
case 값2: 명령2;
case 값3: 명령3;
...
case 값n: 명령n;
default:명령k
}
c;
d;
switch(data)에서 data에 올 수 있는 것은 정수형 변수이거나 어떠한 수식의 결과가 정수가 오도록 해야 합니다.
data에 따라서 해당 값이 있는 case의 명령을 실행합니다.
a,b를 실행하고 만약 data의값이 값2이라면 명령2,명령3,명령k까지 실행한 다음 c,d를 실행합니다.
a,b실행하고 data의 값이 값3이라면 case 값3으로 바로 가서 명령3부터 명령k까지 쭈우욱 실행합니다.
a,b를 실행하고 data의 값이 해당 case에 없으면 default로 바로 가서 명령k를 실행하고 switch를 탈출한다음 c,d를 실행합니다.
만약, data의 값이 값2일때에 명령2부터 명령k까지 쭈우욱 실행시키지 않고 해당 case문에 있는 명령2만 동작시키고자 한다면 그 case문 끝에 break를 둡니다.
따라서, switch case문 쓸때에 반드시 모든 case 문에 break를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곳에 적절한 위치에 break를 둡니다. switch문의 각 case에 필요하다면 또다른 switch가 오거나 if문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혹은 if 조건식이 참이거나 거짓일때 수행할 문장으로 switch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공부 정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 (0) | 2021.10.15 |
---|---|
반복문: for문 (0) | 2021.10.14 |
선택문 : if문 (0) | 2021.10.12 |
오류의 종류, 이름 작성의 규칙, 주석문 (0) | 2021.10.11 |
연산자(2/2) (0) | 2021.10.10 |